법무법인 성지
  • 커뮤니티
  • 언론 보도
  • 커뮤니티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언론 보도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형사 공무집행방해죄 판단 여부, 공무 적법성 입증에 달려 있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성지파트너스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2,739회   작성일Date 24-01-11 19:58

    본문

    3b3562bbf819300f231ddbec96d73cf5_1704970594_9317.jpg
    사진 =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김한수 대표변호사 


    최근 민원인으로부터 폭행을 당하거나 폭언을 듣는 공무원이 

    지난해 약 1만 건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2023년 8월 말 기준 공무집행방해 범죄는 6,701건에 이른다. 

    월평균 837건꼴이다.

    공무집행방해 범죄는 직무를 집행하는 공무원을 폭행 또는 

    협박하는 행위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공무집행방해 범죄는 2019년 9,588건에서 

    2020년 9,538건, 2021년 8,216건으로 줄었다가 

    2022년 9,569건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8월 말 경찰관 

    대상 공무집행방해 범죄는 6,190건으로 전체의 92%에 달한다.

    우선 형법 제136조 제1항에 규정된 공무집행방해죄는 

    직무를 집행하는 공무원에 대하여 폭행 또는 협박을 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이다.

    직무를 집행하는 공무원에 대하여 폭행 또는 협박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직접 공무원의 신체에 손을 대지 않아도 물건을 휘둘러 

    위협한다거나, 주먹을 휘두르면서 장부를 보여주지 않는 것도 

    폭행이 된다. 또한 형법 제144조에 명시된 특수공무집행방해죄는 

    단체 또는 다중의 위력을 보이거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여 

    공무의 집행을 방해하거나 법정 또는 국회회의장을 

    모욕하는 등의 죄에 해당한다.

    특히 공무집행방해죄의 성립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논란이 되는 것은 위법한 공무집행도 형법의 보호를 

    받는가 하는 점이다. 또한 공무의 적법성의 요건을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에 대해 법원의 법령해석에 따라 판단하자는 

    객관설과, 당해 공무원이 적법한 것이라고 믿고 행한 것이라면 

    적법한 것으로 보는 주관설 및 일반인의 견해를 표준으로 하자는 

    절충설이 있는데, 실무적으로 객관설을 취하고 있고 

    판례는 절충설을 취하고 있다.

    실제로 대법원의 판례에 따르면 “형법 제136조 제1항에 

    규정된 공무집행방해죄에서 ‘직무를 집행하는’이라 함은 

    공무원이 직무수행에 직접 필요한 행위를 현실적으로 행하고 있는 

    때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공무원이 직무수행을 위하여 

    근무 중인 상태에 있는 때를 포괄하고, 직무의 성질에 따라서는 

    그 직무수행의 과정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부분적으로 각각의 

    개시와 종료를 논하는 것이 부적절하고 여러 종류의 행위를 

    포괄하여 일련의 직무수행으로 파악함이 상당한 경우가 있으며, 

    나아가 현실적으로 구체적인 업무를 처리하고 있지는 않다 하더라도 

    자기 자리에 앉아 있는 것만으로도 업무의 집행으로 볼 수 있을 때에는 

    역시 직무집행 중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 직무 자체의 성질이 부단히 

    대기하고 있을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일 때에는 대기 자체를 곧 직무행위로 

    보아야 할 경우도 있다”고 판시한 바 있다. 

    (대법원 2002. 4. 12. 선고 2000도3485 참조)

    이에 법무법인 성지파트너스 김한수 대표 변호사는 “공무원과 

    마찰이 생겼을 시, 원칙과 관례대로 처리되는 공무원 조직의 특성상 

    합의 시도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특히 공무집행방해죄의 경우 처벌 

    수위가 높아져 약식기소 등 수사단계에서 종결되는 경우는 전무하고 

    관련 혐의에 연루 시 재판 과정에서의 진술이 피고인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한수 대표 변호사는 “만약 폭행·협박 등의 위력을 

    행사하였다면 공무 방해의 정도, 범행동기에 참작할 만한 상황, 

    과거 처벌 전력 여부, 자신에게 책임을 전가하기 어려운 심신미약 

    상태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소명해야 한다.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공무원의 행위가 공무의 적합성 여부에 대한 판단조차 쉽지 않기 

    때문에 사건이 부풀려 졌거나 무고한 입장이라면 초기 단계부터 

    형사 전문 변호사의 객관적인 법률 조력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334건 21 페이지
    언론 보도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154 성범죄
    성지파트너스
    조회 Hit 7534            작성일 Date 2024-02-13
    성지파트너스 7534 2024-02-13
    153 성범죄
    성지파트너스
    조회 Hit 2100            작성일 Date 2024-02-13
    성지파트너스 2100 2024-02-13
    152 교통음주
    성지파트너스
    조회 Hit 2325            작성일 Date 2024-02-08
    성지파트너스 2325 2024-02-08
    151 성범죄
    성지파트너스
    조회 Hit 2240            작성일 Date 2024-02-07
    성지파트너스 2240 2024-02-07
    150 성범죄
    성지파트너스
    조회 Hit 2587            작성일 Date 2024-02-07
    성지파트너스 2587 2024-02-07
    149 부동산·건설
    성지파트너스
    조회 Hit 2562            작성일 Date 2024-01-31
    성지파트너스 2562 2024-01-31
    148 형사
    성지파트너스
    조회 Hit 2552            작성일 Date 2024-01-18
    성지파트너스 2552 2024-01-18
    열람중 형사
    성지파트너스
    조회 Hit 2740            작성일 Date 2024-01-11
    성지파트너스 2740 2024-01-11
    146 교통음주
    성지파트너스
    조회 Hit 2542            작성일 Date 2024-01-11
    성지파트너스 2542 2024-01-11

    SEARCH

    실시간 상담휴대폰 번호를 입력해 주시면 저희가 바로 연락드리겠습니다.